- 개방형 클라우드 플랫폼(K-PaaS)은 누구나 활용할 수 있도록 오픈소스 기반으로 구성한 개방형 클라우드 플랫폼 표준모델(K-PaaS 표준모델, 오픈소스)과 이를 기반으로 K-PaaS 적합성을 인증받은 클라우드플랫폼 서비스·솔루션을 통칭합니다.
- 또한 K-PaaS는 클라우드 플랫폼 간 상호호환성·운용성 확보를 위해 민관 협의체인 Open cloud Platform Alliance(OPA) 중심으로 K-PaaS 시험인증(호환성, 적합성)을 통해 상호호환 클라우드 생태계를 확장해 나가고 있습니다.
특징
- 인프라 종속 탈피
11종의 다양한 인프라(laaS) 지원
- 국산 SW 서비스 지원
우수한 국산 솔루션 탑재와
확산 촉진 - 풍부한 개발·운영 환경
풍부한 개발 환경·데브옵스
도구 지원 - K8S 중심의 플랫폼 환경
Kubernetes 최신버전을 적용한
서비스 개발·운영지원
- 자동 확장 및 장애 복구
VM, 컨테이너를 사용량에 따라
자동 확장과 장애 복구 - 통합 모니터링
인프라부터 응용서비스까지
통합모니터링 - 마켓 플레이스
사용량 기반 미터링, 구매관리,
상품 카탈로그 등 지원 - 보안성 강화
보안 취약점 점검 후 조치 및 패치
Github 반영
기대효과
-
- HW자원의
효율적인 활용 - 컨테이너를 기반으로 HW 자원의 활용을 극대화함으로써 IT 비용 절감
- HW자원의
-
- SW자원의
신속한 제공 - 표준화된 HW 및 SW의 설치‧구성을 수분 내로 자동화함으로써 응용 SW의 신속한 개발‧테스트
- SW자원의
-
- 간편한 SW
유지보수 - 소수의 시스템 운영 인력으로 서비스 수준을 유지하면서 안정적으로 시스템 운영 가능
- 간편한 SW
-
- 안정적인
시스템 운영 - 고가용성 보장을 위한 별도의 솔루션 없이, 자동으로 HW 및 SW 수준의 고가용성 보장
- 안정적인
-
- 클라우드
이동성 확보 - 다양한 IaaS 지원 및 컨테이너를 통한 표준화된 응용SW 관리 가능
- 클라우드